직선의 방정식,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 이번 글에서는 직선의 방정식과 일차함수, 일차방정식의 관계에 대해서 공부합니다.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, 직선의 방정식은 서로 깊은 관계가 있어요. 용어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고 식을 자유자재로 왔다 갔다 할 수 있어야 해요. 일차함수...
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,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에서 직선의 방정식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봤어요.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 ax + by + c = 0의 순서쌍 $($x, y$)$를 좌표평면에 표시했더니 직선이 된다. 이때 ax + by + c = 0
C++ Chapter 6.15 : 포인터와 참조의 멤버 선택포인터와 참조의 멤버 선택 포인터 혹은 참조로 구조체/클래스 멤버에 접근할 수 있다.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struct Person { int age; double weight; }; int main() { Person person; p
C++ Chapter 6.14 : 참조와 constint x = 5; int & ref = x; x 가 메인이고 ref 는 x의 별명일 뿐임을 인지하자. int x = 5; const int & ref = x; // ⭕ 가능 : ref를 통해 x값을 수정하는건 안되고 읽기만 가능 const int x =
C++ Chapter 6.13 : 참조 변수참조 변수 int & 포인터보다 사용하기 편하다. 별명 이라고 생각하자. int value = 5; int *ptr = &value; // 포인터 int &ref = value; // ❤참조❤ cout
일차함수 그래프의 평행과 일치일차함수 그래프의 평행과 일치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웬만한 건 다 다루었어요. 일차함수 y = ax + b 그래프에서 a가 무엇을 의미하는지, a의 부호에 따라서 그리고 b의 부호에 따라서 그래프의 모양이 어떻게 바뀌는 지 등이요. 일차함수 y=ax+b 그래프의 특징
C++ Chapter 6.12 : 포인터와 constconst int * ptr : const가 맨 앞에 붙은 경우 const int a = 5; // a 는 상수 int b = 10; // b는 그냥 변수 const int *ptr_a = &a; // a를 가리키는 포인터 const int *ptr_b = &a
일차함수 y=ax+b 그래프의 특징일차함수 y=ax+b 그래프의 특징 y = ax + b 그래프에서 a는 기울기이고, b는 y 절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. 이제 이 두 가지에 따라 그래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볼 거예요.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간략하게 이야기하기는 했는데, 좀 더 자세히 알아보
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일차함수 그래프 그리기 이제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직접 그려볼까요?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은 이미 1학년 때 배워봤어요. 함수식이 주어지면 그 식에, x = 1, 2, 3, …을 넣어서 그때의 y값을 구했죠. 그리고 순서쌍을 이용해서 좌표평면에 점을 찍은 다음
C++ Chapter 6.11 : 동적 할당 배열정적 배열 const int length = 5; int array[length]; 반드시 배열의 크기가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전에 미리 컴파일 타임에 정해져야 한다. 프로그램 실행 전에 미리 공간을 할당 받기 때문! 배열의 크기를 리터럴 상수가 아닌 변수로 넣고 싶으면
일차함수와 그래프 - 기울기일차함수와 그래프 - 기울기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또 한가지 알아야 할 내용이 기울기에요. 일차함수 y = ax 그래프에서 a의 부호에 따라 그래프가 어떤 특징을 가졌는지 알아봤지요? 바로 a가 기울기입니다. 그래프의 특징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니까 기울기에 대해서 꼭
C++ Chapter 6.10 : 메모리 동적 할당 new와 delete동적 메모리 할당이란? 필요할 때만 메모리를 할당받아서 사용하고 반납할 수 있다. ο 지역변수나 배열은 { } 를 벗어나면 메모리에서 사라지므로 여러 함수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. ο 전역 변수나 배열은 여러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프로그램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메
일차함수와 그래프 - x절편, y절편일차함수와 그래프 - x절편, y절편 일차함수 y = ax의 그래프의 특징에 대해서 이해했나요? 원점 $($0, 0$)$을 지난다. 기울기의 절댓값이 커질수록 y축에 가깝다. a > 0 이면 ○ 오른쪽 위로 향하는 직선 ○ x 증가 → y 증가 ○ 1, 3 사분면